본문 바로가기
IT 기초 상식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기본 방식

2021. 3. 21.

컴퓨터를 새롭게 업그레이드한다는 것은, 하드웨어를 개선하거나 소프트웨어를 상위 단계로 추가, 개선하여 전체적인 시스템의 향상을 위한 작업을 뜻합니다. 컴퓨터는 사람이 직접 만질 수 있는 하드웨어와 만질 수 없는 소프트웨어로 나뉩니다. 이 두 가지 중 어느 한쪽의 성능을 높이는 행위를 바로 업그레이드라고 합니다.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우리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다 보면 버그가 발생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컴퓨터 환경은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으며, 기존 버전의 소프트웨어는 새로 도입된 기종에 맞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기존 버전을 보완하거나, 혹은 버그를 수정하여 시스템에 설치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직접 구입해서 설치하는 방법이 있으며, 온라인에서 무, 유료를 구별하여 다운로드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윈도우 95에서부터 윈도우 98, 2000, xp를 거치면서 현재는 window 10이 보편화되었습니다. Ui의 개선은 물론이고 소프트웨어의 성능도 향상되어, 보다 편리하고 빠른 속도로 사용자들에게 여러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는 컴퓨터뿐만 아니라 스마트폰도 해당되며, 기존에 불편했던 방식을 개선하고 새로운 환경을 도입시킵니다.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하드웨어는 일부 장비가 고장 나거나 혹은 쓰기에 불편함을 느낄 때 주로 교체합니다. 각 장비마다 성능과 가격이 천차만별이며, 단순히 콘텐츠를 즐기기 위해서 사용할 것인지 혹은 작업용으로 사용할 것인지 미리 검토해보고 결정해야 합니다. 하드웨어 업그레이드를 시작하기 전에는 반드시 전원을 끄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하드 웨어 업그레이드 종류

  1. CPU 업그레이드는 시스템의 성능을 확실히 끌어올릴 수 있으며, 메인보드를 지원하는지 꼭 따져보아야 합니다. 만약 지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반드시 같이 교체해주어야 합니다. 또한 기종에 따라 핀의 크기나 숫자가 다르기 때문에 핀과 슬롯의 극성을 맞춰줘야 합니다.
  2. 하드디스크 업그레이드는 주로 용량 문제로 인해 교체하며, 더욱 큰 용량을 확보해 자료를 저장하기 용이하도록 만들어줍니다. 요즘에는 외장하드가 많이 나와서 컴퓨터 내부에 있는 하드디스크를 직접 교체하지는 않습니다. 업그레이드할 때 참고할 점은, 전송 속도 단위인 ms가 작을수록 좋으며 RPM과 용량이 클수록 좋다는 것입니다.
  3. RAM 업그레이드는 소프트웨어가 높은 사양을 요구할 경우에 택하는 방식입니다. 메인보드에 램이 장착될 슬롯이 없을 경우엔 기존 램을 제거하고 새로운 기종을 끼워주어야 합니다. 접근 속도 단위인 ns가 작을수록 좋고, 램의 형태나 핀 숫자, 속도 등을 파악한 뒤 업그레이드해주어야 합니다.
업그레이드할 때 수치 비교

수치가 클수록 좋다.

  • CPU 성능, MIPS
  • CPU 클럭 속도, MHz 혹은 GHz
  • 하드디스크 용량, GB
  • 하드디스크 회전수, RPM
  • 모뎀 전송 속도, bps 혹은 cps

수치가 작을수록 좋다.

  • 하드디스크 전송 속도, ms
  • 램 접근 속도, ns

컴퓨터 자격증을 준비하시거나, 혹은 장비를 새로 업그레이드하시려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소프트웨어, 하드웨어를 구분할 수 있고 업그레이드의 기본적인 개념을 알고 있으면 추후 도움이 많이 될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