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대, 90년대만 하더라도 컴퓨터 가격이 비싼 편이었고, 보급형 PC가 출시되었지만 TV처럼 모든 가정에서 사용하는 필수품은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인터넷이 점점 발전하면서 디지털 시대가 열리게 되었고 업무의 대부분을 컴퓨터로 처리하게 되어 그만큼 편리성과 사용도가 증가되었습니다. 현재는 컴퓨터가 없는 집이 없을 정도로, 범용성이 확장되었으며 연세가 많은 분들도 수업을 들으며 온라인으로 쇼핑을 즐기시는 등 이제 일상생활에서 빠지면 안 될 필수품이 되었습니다. 학교에서도 간단한 코딩 수업이 도입되었으며, 컴퓨터의 정의 및 기본 개념을 알아가신다면 프로그래밍을 배우는 데 있어 좀 더 수월하게 될 것입니다.
컴퓨터의 정의
컴퓨터는 숫자를 표현할 때 0과 1 이진법을 사용하여 논리적 연산과 저장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입니다. 사람이 입력한 데이터를 프로그램의 명령 순서에 맞춰 그 결과를 사람이 인지하기 쉽도록 화면에 출력하는 역할을 합니다. 우리가 컴퓨터로 글자를 쓰거나, 파일을 생성하거나 삭제하는 것도 간단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수 많은 복잡한 연산 체계로 이루어지는 것이지요. 컴퓨터는 전자 정보 처리 시스템의 약자인 EDPS라고도 불리며, 프로그램에 의해서 자동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ADPS라고도 불립니다. 컴퓨터의 5대 특징으로는 신속성, 정확성, 범용성, 호환성, 대용량성을 들 수 있습니다. 또한 사람이 직접 입력하는 데이터에 따라 그 결과가 좋게도, 나쁘게도 나올 수 있는데 이를 줄여서 GIGO라고도 합니다.
컴퓨터의 기원과 역사
컴퓨터의 기원은 넓게 보면, 사람들의 계산을 도와주는 주판, 산가지, 계산자 같은 보조 도구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불과 몇 십년 전만 해도 우리나라에서도 주판을 배웠으며 주판 대회가 치러질 만큼 그 활용도가 높았습니다. 지금은 거의 사용하고 있지 않지만 인간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노력이 엿보이는 도구입니다. 이제 컴퓨터의 역사에 대해서 순차별로 알아보겠습니다. 최초라는 측면에 맞춰 공부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1642년도 파스칼의 계산기는 기본적인 덧셈과 뺄셈이 가능했던 최초의 기계식 계산기입니다.
- 1834년도 바베지가 개발한 해석기관은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현대 컴퓨터의 개념을 최초로 제시했습니다.
- 1893년도 홀러리스가 개발한 천공 카드 시스템은 국세 조사나 인구 통계에 이용되고 있으며 자동 계산의 실용성을 확인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 1937년도 튜링이 개발한 튜링 기계는 기존의 추상적인 계산기 모형으로부터 논리적인 컴퓨터 모델이 되었습니다.
- 1944년도 에이컨이 개발한 MARK-I는 최초의 전기 기계식 자동계산기입니다.
- 1942년도 아타나소프가 개발한 ABC 계산기는 최초로 진공관을 사용하였습니다.
- 1946년도 에커트와 머큘리가 개발한 ENIAC은 최초의 전자계산기입니다.
- 1949년도 윌키스가 개발한 EDSAC은 프로그램 내장 방식을 최초로 도입했습니다.
- 1951년도 에커트와 머큘리가 개발한 UNIVAC-I는 최초로 상업적으로 사용된 전자계산기이며, 미 통계국에서 사용되었습니다.
- 1952년도 폰 노이만이 개발한 EDVAC은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2진법을 채택하였으며 프로그램 내장 방식을 도입했습니다.
컴퓨터의 구성
컴퓨터는 딱딱한 기계장치로 구성된 하드웨어와, 그 하드웨어를 보이지 않는 곳에서 움직이는 소프트웨어로 나뉩니다. 우리가 손으로 만질 수 있는 기계 제품을 하드웨어라 하며 내부 프로그램이 바로 소프트웨어입니다. 하드웨어는 중앙처리장치와 주변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처리장치는 주기억장치, 연산장치, 제어장치가 포함되고 주변장치는 입출력 장치, 보조기억장치를 말합니다. 주기억장치, 연산장치, 제어장치, 입출력 장치, 보조기억장치를 통틀어 컴퓨터의 5대 장치라고 부릅니다. 소프트웨어는 그 반대로서 일반적으로 우리가 프로그램이라고 부릅니다. 사람으로 치면 몸을 움직이는 내부 신경들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바로 소프트웨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컴퓨터의 정의와 기본 개념이 복잡해 보이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습니다. 그만큼 컴퓨터는 친숙한 도구이며 사람과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프로그램을 기초를 공부하는 데 있어서 이러한 기본 상식을 눈으로라도 익혀둔다면 앞으로 프로그램 언어를 배우는 데 있어서도 2배, 3배 더 빠르게 진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 처음부터 완벽하게 순차적으로 공부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만큼 컴퓨터의 세계는 무궁무진하기 때문에 내게 필요한 하나하나씩 조각을 맞춘다고 생각하면서 컴퓨터를 공부하시는 게 바람직할 것 같습니다.
'IT 기초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입력 장치 기초 개념 정리 (0) | 2021.03.13 |
---|---|
컴퓨터 주기억장치 기초 개념 정리 (0) | 2021.03.12 |
컴퓨터 중앙처리장치 기초 개념 정리 (0) | 2021.03.12 |
컴퓨터의 분류 방식 3가지 정리 (0) | 2021.03.08 |
프로그램 기초 상식 자료 구성의 단위 모음 (0) | 2021.03.07 |
댓글